교육 과정
Home > 교육안내 > 교육 과정
정보보호 컨설턴트 양성 과정
- (개인)정보보호 전문 컨설턴트가 되고 싶은 지원자
- 과정 내용정보시스템 취약점 진단, 모의해킹, 정보보호관리체계(I는), 개인정보보호, 정보보호 전략계획(마스터플랜), 업무연속성관리, 정보보호 사전점검(개발보안), 개인정보 영향평가 등 정보보호 컨설턴트가 수행하는 업무 전체를 실무중심(산출물, 사례) 위주로 교육 진행
* 상세 교육과정은 “커리큘럼” 메뉴 참고
- 과정 기간12주 주말, 야간 과정
- 지원 대상
- 주말반 : 보안솔루션, SI 등 IT 또는 정보보호 유관 직장 경력자
- 야간반 : 정보통신 유관 대학교를 졸업하고 정보보호 학원에서 6개월 이상 교육 이수한 지원자
- 졸업 후 진로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
교육 상세 내용
- 정보시스템 취약점 진단
서버시스템 정밀 취약점 진단, 네트워크 정밀 취약점 진단, 보안장비 정밀 취약점 진단, 데이터베이스(DBMS)
정밀 취약점 진단, PC 취약점 진단 등
- 모의해킹
웹취약점 진단, 모바일 앱 취약점 진단, 모의해킹, 소스코드 취약점 진단 등
- 정보보호관리체계(ISMS)
ISO27001 Gap분석, KISA ISMS Gap분석, 위험평가, 관리체계(규정/지침) 수립 및 개선 등
- 정보보안 평가
정보보호 사전점검(개발보안), 정보보안 관리실태평가(국정원),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
·평가(미래부), 보안성 심의(국정원, 금융감독원) 등
- 업무연속성관리
ISO22301 Gap분석, 위험/업무영향평가(RA/BIA), 업무연속성전략수립(기본계획), 비상대응계획, 재해복구계획 등
- 정보보호 전략계획정보보호 마스터플랜, 정보보호 추진계획
- 개인정보 보호조치 진단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평가(행안부), BS10012 Gap분석, PIMS(PIPL) Gap분석,
위탁업체 보안점검(다수의 기업 보안감사)
- 개인정보 위험분석개인정보영향평가, 개인정보 암호화 위험분석, 개인정보침해 위험평가
- 개인정보 보호대책 수립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(규정/지침)수립 및 개선, 개인정보 취급 가이드라인 수립,
기술적/관리적/물리적 보호대책 수립
- ※ 과정별 상세 내용은 커리큘럼 메뉴 참고